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내일배움카드
- 트위터동영상 다운로드
- 눈밑주름
- 고용노동부 연차
- 트위터 다운로드
- 틱톡 다운로그
- 내일배움카드발급
- 눈밑주름 시술
- 유튜브 다운로드
- 유튜브동영상다운로드
- 고용노동부 연차 계산기
- 내일배움카드 발급받는법
- 눈밑주름 음식
- 눈밑주름 없애는 방법
- 틱톡 동영상 다운로드
- 내일배움카드 발급
- 고용노동부 연차 계산하는법
- 고용노동부 계산기
- 눈밑주름에좋은 음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8)
행복한세상

역사적 배경 대한민국 해군이 북한 해군을 거의 관광 태운 해전. 1999년 6월 15일 오전 9시경 서해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북한 해군의 도발로 벌어진 남북 함정 간의 해전으로 당시 한국 해군은 7명이 부상, 고속정이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 반면 북한 해군은 어뢰정 1척과 경비정 1척이 침몰하고 다른 경비정 3척도 심각한 타격을 입고 퇴각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영화 줄거리 청각장애인 엄마를 둔 외아들 상병 박동혁은 의무병으로 입대해서 천안함에 근무를 하다가 참수리급 고속정 357호로 전임 온다. 박동혁이 전임 오고 얼마 후 참수리급 고속정 357호 정장으로 윤영하 대위가 부임된다. 그는 해군 출신 아버지를 두었고 부임 오자마자 전투준비 시간을 체크하는 등 깐깐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동료들을 진심..

역사적 배경 5·18 민주화운동, 또는 광주 민주화운동은 넓게 보면 1979년 12·12 군사반란 직후부터, 좁게 보면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전두환 등 신군부 쿠데타 세력이 무고한 광주 시민들을 학살한, 시민과 계엄군 모두에게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긴 사건이다. 처음에는 신군부에 의해 광주 폭동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점차 시대가 변하고 진실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광주 민중항쟁, 광주 민주항쟁, 광주학살 등으로 부르며, 보통 일어난 날짜를 줄여서 5·18로 부르기도 한다. 대한민국 초·중·고 교과서에서는 대부분 광주 민주화운동이라고 적고 있다. 지만원을 위시한 일부 보수층에서는 전두환의 주장을 답습하여 무장 폭동이라고 주장하기도 하나, 대한민국 대법원에서는 여러 차례 그러한 ..

역사적 배경 6·25 전쟁은 1950년 6월 25일에 일어난 한반도의 비극적인 전쟁인데요. 남북한을 포함해 미국과 중국이 참전한 전쟁이었습니다. 그럼, 이 6·25 전쟁은 왜 일어났던 것일까요? 1948년으로 되돌아가 봅니다. 당시 남한과 북한에는 2개의 정부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서로를 결코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38선에서는 항상 크고 작은 전투가 일어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른 1950년, 갑자기 말도 없이 북한군이 38선을 넘어 남한을 침략했는데요. 그동안 침략할 준비를 단단히 했던 북한이었기에 남한은 두 달 만에 경상도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을 빼앗기고 말았답니다. 정말 안타깝죠. 다행히도 국제 연합이 힘을 잃은 남한을 도와주기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 연합군을 ..

역사적 배경 고종의 고명딸로 순종, 의친왕, 영친왕에게는 이복 여동생이 된다. 생모는 복녕당(福寧堂) 귀인 양춘기(梁春基)이다. 양 씨는 본래 궁녀였다가 승은을 입어 덕혜옹주를 낳고 후궁이 되었다. 양 씨의 친정 오빠는 백정으로 조선에서 가장 미천한 신분이었으나 여동생 덕분에 관복을 입고 궐에 출입하는 귀한 신분으로 벼락 출세했다. ‘덕혜’(德惠)는 1921년에 이복오빠 순종이 내려준 작호인데, 그 이전에 따로 이름이 있었다는 기록이 없다. 한국 측의 기록에는 그냥 ‘아기씨’, ‘복녕당 아기’, 일본 측의 기록에는 姬(ひめ, 아가씨)로만 되어 있다. 그래서인지 훗날 대한민국 호적에도 ‘이덕혜’(李德惠)가 성명으로 올라갔다. 덕혜옹주의 삶을 다룬 여러 매체에서도 ‘황녀 이덕혜’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대한제..